티스토리 뷰
목차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돌아왔다. 그리고 그는 다시 한번 관세를 들고 세계 경제를 흔들고 있다. 그의 목표는 단순하다 — “미국 산업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만드는 것. 2025년 현재, 트럼프 2기 행정부는 AI 반도체, 배터리, 희토류 분야를 중심으로 ‘경제 전쟁’을 전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어떤 논리로 움직이는지, 그리고 중국이 이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심층 분석한다.
트럼프의 재집권과 보호무역의 귀환 – “Made in USA”의 복귀
트럼프 대통령은 2024년 대선에서 “미국의 일자리를 되찾겠다”는 메시지로 재집권에 성공했다. 그의 첫 번째 행정명령 중 하나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전면 재조정하는 것이었다.
2018년 1기 정부 시절에도 그는 철강 25%, 알루미늄 10%의 관세를 부과하며 세계무역을 흔들었다. 그러나 이번 2기에서는 훨씬 더 정교하고 전략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 단순히 ‘전체 수입품’이 아니라, AI, 반도체, 전기차, 희토류 등 미국의 미래산업과 직결된 핵심 품목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트럼프는 백악관 브리핑에서 이렇게 말했다.
“중국은 지난 20년 동안 미국의 산업을 빼앗아 갔다. 이제는 그 대가를 치를 때다. 미국의 기술은 미국 땅에서 생산되어야 한다.”
이 발언은 단순한 정치적 수사가 아니라, 그의 정책 철학을 정확히 드러낸다. 트럼프의 목표는 세계무역의 재조정이 아니라, “공급망의 미국 본토 회귀”다.
AI 반도체 전쟁 – 엔비디아 vs 화웨이의 기술 격돌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정책 중 가장 상징적인 분야는 단연 AI 반도체다. 미국은 AI 산업을 국가 안보와 동일한 수준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중국의 기술 굴기를 가장 큰 위협으로 본다.
이에 따라 2025년 1월, 미국은 중국산 AI 반도체, 칩셋, 서버 부품에 대해 최대 60% 관세를 부과했다. 또한 엔비디아·AMD 등 미국 기업이 중국 기업(특히 화웨이·바이두·텐센트)에 최신 GPU를 판매할 경우 수출 허가제를 도입했다.
트럼프는 이를 “경제를 통한 안보 확보(Economic Security is National Security)”라 표현했다. 즉, 단순한 무역 문제가 아닌 국가 생존 전략으로 본 것이다.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화웨이는 자체 AI 칩 ‘Ascend 시리즈’를 앞세워 자급화 전략을 강화했고, 심지어 “중국 내 AI 칩 생산 비율을 2026년까지 70%로 끌어올리겠다”는 국가 계획까지 발표했다.
이로써 세계는 두 개의 AI 생태계로 나뉘었다 — 미국 중심의 AI 체제 vs 중국 중심의 AI 독립체제.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결과적으로 “기술 냉전(Tech Cold War)”을 더욱 심화시켰다.
희토류와 공급망 통제 – “중국의 약점을 건드려라”
트럼프 행정부가 특히 주목하는 또 다른 분야는 희토류(Rare Earth)다. 스마트폰, 전기차, 반도체, 미사일 등 첨단 산업 대부분은 희토류 원소에 의존한다. 문제는 세계 희토류 생산의 70% 이상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는 이를 “미국 산업의 아킬레스건”으로 인식했다. 그래서 그는 2025년 초 “희토류 공급망 자립법(The Rare Earth Independence Act)”을 서명했다. 이 법은 미국 기업이 중국산 희토류를 사용할 경우 최대 3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대신 호주·캐나다·그린란드 등 동맹국과의 공급 계약에는 세제 혜택을 제공한다.
이는 단순한 경제 정책이 아니라, ‘전략자원 패권’ 경쟁의 일환이다. 트럼프는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무기화할 가능성을 경계하며, 미국 내 광산 재가동과 리사이클링 산업 육성을 병행하고 있다.
중국 역시 가만히 있지 않았다. 광물 수출 제한, 내수 산업 보조금 확대 등으로 미국의 압박에 대응 중이다. 결국 두 국가는 “산업의 원료 단계부터”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트럼프의 경제 철학 – “관세는 협상의 도구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은 단순히 보호무역주의로만 볼 수 없다. 그의 핵심 철학은 “관세를 통해 협상력을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그는 2019년 멕시코와의 무역 협상 때도 관세 위협을 통해 불법이민 단속 합의를 끌어냈다. 같은 전략이 중국에도 적용된다. 즉, 관세를 통해 중국의 시장개방을 강제하려는 것이다.
2025년 2월, 트럼프는 한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협상을 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한다. 관세는 벌금이 아니라, 미국을 위한 협상 카드다.”
이 발언은 트럼프식 외교경제의 본질을 잘 보여준다. 그는 자유무역보다 힘의 논리, 다자협정보다 양자협상(Deal)을 선호한다. 그에게 세계 경제는 경쟁의 장이며, 그 중심에는 “승자 미국”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대응 – 내수 중심과 기술 독립의 가속화
트럼프의 고율 관세는 중국 경제에 분명한 압박을 주고 있다. 특히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전자·기계·부품 산업은 타격이 크다. 그러나 중국은 일본과 달리 내수 중심 구조와 기술 자립 전략으로 버티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25년 4월, “중국제조 2035(Made in China 2035)” 계획을 발표하며 AI, 반도체, 배터리 산업의 국산화율을 10년 내 8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다. 또한 위안화 결제망(CIPS)과 디지털 위안화를 미국 제재 회피용 결제시스템으로 확산 중이다.
즉,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중국의 수출길을 막는 동시에 중국의 경제 자립을 자극하는 역설적 결과를 낳고 있다.
결론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감정적 대응이 아니다. 그는 미국 산업의 구조적 약점을 정확히 알고 있다. 그의 목표는 단순히 중국을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중심의 공급망, 미국 중심의 기술 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이다.
AI, 반도체, 희토류는 21세기의 석유다. 트럼프는 이 자원을 지키기 위해 경제적 무기를 꺼내 들었다. 그의 정책은 단기적으로 글로벌 무역에 혼란을 주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산업의 복원과 중국의 기술 독립이라는 두 개의 평행 세계를 낳을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가 말했듯, “세계는 더 이상 미국을 이용할 수 없다.” 그의 관세전쟁은 바로 그 신념의 실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