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현재, 미중 관세전쟁은 다시 고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미국 내 제조업 보호를 강화했고, 중국은 기술 자립과 위안화 결제를 앞세워 맞대응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양국의 관세 전략을 경제논리, 외교정책, 산업영향 관점에서 비교 분석한다.
경제논리의 차이 – 미국의 보호무역 vs 중국의 내수 확장
2025년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제조업 중심 경제 복원’을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그는 2018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일자리를 되찾겠다”는 구호를 앞세워 중국, 한국, 멕시코 등 주요 교역국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 관세는 단순한 세금이 아니라, 미국 내 생산 유인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이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이 여전히 보조금 중심의 수출경제를 유지하고 있고, 자유무역 질서를 왜곡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그는 “공정한 무역을 위해선 강력한 관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WTO를 사실상 무력화시켰다. 이 같은 조치는 2025년 상반기 미국 제조업 지표를 일정 부분 개선시켰지만, 동시에 수입물가 상승과 소비자 부담 확대라는 부작용도 초래했다.
반면 중국의 관세정책은 내수 중심 성장전략으로 전환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자급자족 경제, 기술 자립”을 강조하며 수출 의존형 구조에서 벗어나려 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강화에 대응해 일부 미국산 제품에 최대 40%의 보복관세를 부과했지만, 그보다는 ‘수입 대체 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국가 과학기술 혁신기금’을 확대해 반도체, AI, 배터리 등 첨단 분야의 국산화를 추진 중이다. 이는 단순한 관세 대응이 아니라, 경제 구조 자체를 수출형에서 기술형으로 바꾸는 장기 전략이다.
외교전략의 차이 – 미국은 동맹 중심, 중국은 비달러 연대
관세정책은 경제정책이자 외교전략의 수단이다. 미국은 트럼프 재집권 이후 동맹국 중심의 경제 블록화 전략을 강화했다. 그는 일본, 캐나다, 영국과의 무역협정 재조정을 통해 ‘친미 무역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협정에서도 “공정무역 조항”을 명목으로 반도체와 자동차 부문에서 추가 협상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2025년 7월 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는 “중국과의 디커플링(decoupl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발언하며 사실상 경제 동맹 중심의 신냉전 체제를 선언했다. 이는 미국이 기술·금융 패권을 유지하기 위한 외교적 포석이다.
반면 중국은 달러 중심의 글로벌 금융질서에 맞서 위안화 결제 시스템 확대를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인도와의 무역 결제 일부가 달러가 아닌 위안화로 진행되며, ‘탈달러화’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중국은 아세안, 아프리카, 남미 국가들과의 무역협력을 강화해 ‘비서구 경제권 연대’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외교 전략은 단순한 경제 동맹을 넘어 글로벌 패권 구조의 다극화로 이어지고 있다. 즉, 미국이 기존 질서를 지키려는 ‘수성형 전략’이라면, 중국은 새로운 질서를 만들려는 ‘창조형 전략’을 택한 셈이다.
산업영향 – 반도체·배터리·AI 산업의 재편
관세전쟁의 여파는 산업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장 큰 변화는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이다.
미국은 반도체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규정하고 ‘CHIPS and Science Act’를 강화했다. TSMC, 삼성전자, 인텔이 미국 내 공장을 확충하며 생산기지의 지역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트럼프는 이를 “Made in USA 2.0”이라고 부르며 자국 내 제조업 복귀를 상징화했다.
반면 중국은 국산 반도체 기술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2025년 8월, 화웨이는 7나노 공정 칩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출시하며 미국의 기술제재를 정면 돌파했다. 또한 CATL, BYD 등 중국 배터리 기업들은 유럽과 동남아에 신규 공장을 설립해 “중국 기술의 글로벌화”를 추진 중이다.
AI 산업에서도 양국의 대립은 극명하다. 미국은 오픈AI, 구글,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AI 생태계를 독점하려는 반면, 중국은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가 주도하는 ‘중국형 생성AI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결국 두 나라는 기술 독립 + 산업 통제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길을 걷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 일본, 독일 같은 중간국가들은 양국 간 균형을 잡아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했다.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중국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동남아·인도 수출선을 확장하고 있으며, 배터리 산업은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기준에 맞추기 위해 생산 공정을 미국 내로 옮기는 중이다.
결론
2025년 현재의 미중 관세전쟁은 단순한 경제분쟁이 아니다. 그것은 경제논리의 충돌이자, 세계 질서 재편의 서막이다. 미국은 보호무역을 통해 자국 중심의 산업구조를 강화하려 하고, 중국은 기술 자립과 탈달러화를 통해 ‘비서구 중심의 신경제 체제’를 구축하려 한다.
관세는 이제 세금이 아니라 전략무기가 되었다. 무역은 더 이상 상호이익의 장이 아니라, 국가 안보와 기술 패권이 교차하는 ‘경제 전장’이 되었다.
미중의 관세전략은 앞으로도 글로벌 공급망, 환율, 투자 흐름을 좌우할 것이다. 그리고 그 여파 속에서 한국을 비롯한 중간국가들이 새로운 생존 전략을 세워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